김홍도(金弘道)
페이지 정보
본문
단원 김홍도(金弘道) 부 : 김석무(金錫武) 1745년 (영조 21)~ ?.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취화사(醉畵士). 고면거사(高眠居士). 첩취옹(輒醉翁)으로 화원 장필주(張弼周)의 외손자 이며 김석무(金錫武)의 아들이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 화가로 강세황(姜世晃)에게 그림을 배웠다. 1773년 영조(英祖)의 어진(御眞)과 정조(正祖)의 왕세자 시절 초상을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司圃署)에서 근무하였다. 1777년 신한평(申漢枰), 김응환(金應煥), 이인문(李寅文) 등과 함께 서울 중부동 강희언(姜熙彦)의 집에 모여 공적, 사적으로 주문받은 그림을 그렸으며, 이 당시 벼슬은 별제(別提)였다. 1781년에는 정조어진익선관본 제작에 신한평, 한종유(韓宗裕)와 함께 참여하고 그 공로로 안기역(安奇驛)의 찰방을 제수 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류방(李流芳)의 호를 따라 '단원(檀園)'이라 자호(自號)하였다. 1788년에 김응환과 함께 왕명으로 영동 9군과 금강산 일대를 탐방하고 실경(實景)을 그렸고, 1791년에는 정조 어진(正祖御眞) 원유관본(遠遊冠本) 제작에 참여한 후 연풍 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까지 봉직하였다. 1790년 수원 용주사(龍珠寺) 대웅전에 《삼세여래후불탱화(三世如來後佛幀畵)》를 그렸고, 1795년(정조19) 연풍현감(延豊縣監)이 되었다가 곧 사임하였다. 이듬해 왕명으로 용주사의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삽화를 그렸으며, 1797년 정부에서 간행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의 삽화를 그렸다. 산수화 ·인물화 ·신선화(神仙畵) ·불화(佛畵) ·풍속화에 모두 능하였고,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산수화는 사실(寫實)묘사와 조국애가 어울려서 조국 강산의 아름다움을 예술로 승화시킨 것으로 당시의 신윤복(申潤福) ·이인문(李寅文) ·김석신(金碩臣) ·김득신(金得臣) 같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 풍속화는 서민사회의 생활정서와 농(農) ·상(商) ·공(工) 등의 생활정서를 주제로 하여 그들의 생활모습을 익살스럽고 구수한 필치로 그린, 일종의 사회풍자를 곁들인 작품들이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