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상식 (譜學常識)
보학(譜學)
개념
보학(譜學)이란
보첩(譜牒)에 관한 학문이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그 자체의 향상발전은 물론 보첩의 이해가 증진된다.
보첩은
족보로 만든 모든 문헌의 총칭이며, 족보란 한 겨레붙이의 세계(世系)를
기록한 문헌으로서 보첩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세계란
말은 대대의 계통, 즉 가계를 일컫는 말이다.
보첩(譜學)의
기원
중
국 : 3∼5세기의 육조(六朝)(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10세기에 이르러 소보(蘇譜)로써
체계를 갖추었다.한 국 : 13세기 고려말엽부터 족보가 시작되었다고는
하나 그것이 오늘에 전해진 것은 하나도 없고, 단지사대부의 집에는
겨우 가승(家乘)이 마련되어 오다가 가장 체계를 갖춘 족보는 15세기
후반인 성종 7년(서기 1476)에 비로서 안동 권씨의 성화보(成化譜)가
인간된 것이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이며, 그후 명종 20년(서기 1565)에는
문화유씨의 가정보(嘉靖譜)가 간행되었다.그 당시에는 자녀의 차별없이
나이순으로 수록하였으며, 친손과 외손을 동등하게 다른 것이 특이하다.
소
보 : 북송(北宋)의 대문장가인 소순과 그의 아들 소동파 소철 형제에
의해 편찬된 이 족보는 매우 뛰어나, 이를 포본으로 삼아왔기 때문에
소보라고 전해오고 있다.
보첩의
의의
보첩이란
한 종족(種族)의 계통을 부계(父系) 중심으로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으로, 동일혈족(同一血族)의 원류를 밝히고 그 혈통을
존중하며 가통(家統)의 계승을 명예로 삼는 한 집안의 역사책이다.
(1)
가문의 정치사요, 생활사이다.
(2)
혈통의 실증과 혈족여부를 가늠하는 문헌.
(3)
소목(昭穆)의 서열 및 촌수의 분간(分揀).
(4)
존조경종(尊祖敬宗) 정신의 앙양.
(5)
혈족간 화목단결의 강화
보첩의
종류
(1)
가승(家乘)
가승의
승은 사기승자(史記乘字)로서 한 가족의 사기를 국승(國乘)이라
하거니와 가승이란 한 가문의 사기(史記)라는 뜻이다.
자기를
중심으로 해서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에 대한 세계를 체계적으로 사적(事蹟)을
갖추어 기록한 문헌이다.
(2)
파보(派譜)
어느
1파에 대한 보첩으로서 시조로부터 파속 전체를수록한 보첩이다.
(3)
세보(世譜)
한
지역에 거주하는 1파 또는 각 파속들이 한데 어울려 합동으로 편찬한
것을 세보라 하는데, 세지(世誌)라는 말도 이와 같은 것이며, 파보라는
말 대신에 세보라 하기도 한다.
(4)
족보(族譜)
관향(貫鄕)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전체를수록한 보첩으로서 한 가문의 역사를
표시하고 가계의 연속을 싫증하는 문헌인데, 모든 보첩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5)
대동보(大同譜)
같은
비조(鼻祖)아래 분적된 시관조(始貫祖)마다 각기 다른 관향(貫鄕)을
가지고 있는 혈족관의 동보로써 종합편찬한 족보를 일컫는 것인데
바꿔 말하자면 비록 관향은 각각 다를지라도 비조가 동일한 혈족들이
동보로 편찬된 보첩을 일컫는 말이다.
(6)
계보(系譜)
한
가문의 혈통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명?휘자만을 계통적으로 나타낸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가 수록되었거나 어느 한 부분만이 표시되었다.
할지라도 이는 계보에 속하는 것이다.
(7)
가보, 가첩(家譜, 家牒)
가보나
가첩이란 말은 그 편찬된 형태의 표현이 아니라 각자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보첩이란 것을 일컫는 말이다.
(8)
만성보(萬姓譜)
만성대동보(大同譜)라고도
하며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내어 집성(集成)한 책으로
족보의 사전이라고도 한다.
(9)
종보(縱譜)와 횡간보(橫間譜)
보첩을
편찬하는 방식에 있어서 크게 나누면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행용 줄보라고 일컫는 종보인 것이요, 또 하나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횡간보인데, 이를 간보(間譜) 또는 단보(段譜)라고도
일컫는다.
보첩의
용어해설
1,
시조(始祖), 비조(鼻祖), 중시조(中始祖)
시조(始祖)란
제일 처음의 선조(先祖)로서 첫 번째 조상이며, 비조(鼻祖)란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중 가장 높은 사람을 일컫는다.
중시조(中始祖)란
시조 이하 쇠퇴한 가문을 일으키거나 나라에 큰공을 세운 분을 공론(公論)에
따라 추존(追尊)한다.
2,
선계(先系)와 세계(世系)
선계란
시조 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일컫는 것이고, 세계란 대대로
이어가는 계통의 차례를 가르킨 것이다.
3,
세(世)와 대(代)
시조를
1세로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로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대(代)라 한다.
또한
자기의 조상을 몇대조(代祖) 할아버지지라 하고, 자신은 시조 또는
어느 조상의 몇세손(世孫)이라고 한다.(예: 증조할아버지(曾祖父)는
나의 3대조 할아버지이시고, 나는 증조할아버지의 4세손이라 한다.)
4,
이름자
아명(兒名)
: 어렸을 때 부르던 이름.
자(字)
: 20세가 되면 요즘 성년식 같은 관례(冠禮)를 거행하는데 여기에서
식을 주관하신 분이 예식을 거행하면서 지어준 이름을 말한다.
항명(行名)
: 항렬자(行列字)에 따라 족보에 오르는 이름
별호(別號)
: 이름 말고 따로 부르는 이름
함자(銜字)
: 살아계신 웃 어른의 이름자 를 칭할 때
휘자(諱字)
: 돌아가신 분의 이름자를 칭할 때
5,
사손(嗣孫)과 사손(祀孫)
사손(嗣孫):
한 집안의 종사(宗嗣), 다시 말하면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말한다.
사손(祀孫):
봉사손(奉祀孫)의 준말로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자손을 말한다.
6,
후사(後嗣)와 양자(養子)
후사(後嗣)란
뒤를 잇는다라는 뜻으로,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말한다.
만약
계대를 이을 후사가 없을 경우 : 무후(无后)
양자(養子)로
출계(出系)하였을 경우 : 출후(出后)
서얼(庶
:첩의 자손)로서 입적(入嫡:적자로 돌아옴)되었을 경우: 승적(承嫡:서자가
적자로 됨)
후사가
확실하지 않아 확인 안되는 경우: 후부전(后不傳)등으로 그사유를
보첩(족보)의 이름자 및에 작은 글씨로 명기한다. 본래 큰아들은
양자로 출계할수 없는데 관(官)의 허가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집안에서 결정하여 출계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였다.
|